오늘의 금시세와 돌반지 가격(금 사양하나?

최근 금 가격 장난아니죠. 금 가격 상승에는 여러 요인 요인이 있겠지만 중요한 몇가지를 들 수 있을 것 같아요.

첫째,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 증가가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특히 러시아와 중국을 비롯한 국가들이 외환 보유고 다변화와 달러 의존도 감소를 위해 금을 대규모로 매입하고 있습니다.

둘째,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인플레이션 우려도 금 수요를 부추기고 있습니다. 안전자산으로서의 금은 경제 불안정 시기에 투자자들의 선호가 높아지며 가격 상승을 유도합니다.

마지막으로, 전 세계적인 지정학적 리스크와 금리 변동도 금 가격에 영향을 미치며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금시세와 돌반지 구입이나 금 선물을 어떻게 해야할지 알아볼께요.

오늘 금시세

27일 한국금거래소 순금시세(24K, 3.75g)는 살 때 59만4000원으로 전일 대비 0.84% 하락했다. 팔 때는 51만5000원으로 1.94% 내렸습니다.

18K 금시세(3.75g)는 팔 때 37만8600원으로 1.93% 하락했어요. 14K 금시세(3.75g)는 팔 때 29만3600원으로 1.94% 내렸구요.

반면 백금시세(3.75g)는 살 때 19만5000원으로 0.51% 상승했습니다. 팔 때는 15만7000원으로 변동이 없었어요.

은시세(3.75g)는 살 때 6420원으로 1.71% 하락했고 팔 때는 5100원으로 1.96% 내렸습니다.

지난 몇 년간 금은 안전자산으로 주목받으며 꾸준히 상승세를 유지했고, 2025년에도 지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정책은 금값의 방향을 결정짓는 핵심 요인 중 하나입니다. 고금리가 지속되면 금 보유는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인 투자로 인식됩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금을 매도하고 더 높은 수익률이 기대되는 국채 같은 상품으로 이동할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 됩니다. 금값이 연일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는데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국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대표적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어서라는 분석도 있습니다.

돌반지 1돈 얼마인가?

임신 5개월 차에 접어들었다는 박모 씨는 치솟는 금값에 아기 돌반지를 미리 맞추기 위해 금은방을 찾았다. 김씨는 “1년 전에 쌍가락지를 맞출 때만 해도 시세가 30만원 수준이었는데 이렇게 금값이 많이 오를 줄 몰랐다”고 말했습니다.

조카 돌잔치를 앞두고 금은방을 찾은 김모 씨는 한참 고민하다 결국 발길을 돌렸다. 주씨는 “비싸도 너무 비싼 가격에 아무래도 돌반지는 무리인 것 같다”며 “차라리 현금을 주는 게 나을 것 같다”고 합니다.

실제 돌반지를 구입하려면 오늘 금시세보다 훨씬 높은 가격이 필요합니다. 소매가격이기도 하고 세공비등이 들어가서 1돈짜리 골드바가 나와서 이걸 사시는 분들도 많죠.

그리고 1g, 2g짜리 금반지도 나오고 있어요. 서울 종로구에서 금은방을 운영하고 있는 신모 씨는 “금값이 폭등하기 전에는 한 돈짜리 황금열쇠, 금수저 등 다양한 형태가 많이 나왔지만 요즘에는 1g, 2g짜리 돌반지가 많다”며 “수요가 많아져서 적은 양의 금이 들어간 제품도 기본적으로 2주 정도 기다려야 한다”고 합니다.

조폐공사 골드바 공급 중단

한국조폐공사가 주요 시중은행에 골드바 공급을 중단했습니다. 골드바공급 중단 이유는 금 원자재 수급 문제 때문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금 수요가 급증하면서 공급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안전자산으로서 금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이는 금 품귀 현상을 초래했습니다.

조폐공사는 이러한 상황에서 금 원자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재고 부족으로 인해 골드바를 포함한 금 제품 생산과 공급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습니다. 주요 시중은행들도 골드바 판매를 중단하거나 축소할 수밖에 없었고, 일부 은행들은 다른 공급처를 통해 제한적으로 판매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공급 중단은 단순한 수급 문제를 넘어, 글로벌 금 시장의 변동성과 경제 불확실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됩니다.

진짜 신박한 금반지 금상품

조폐공사 골드바 공급이 중단되면서 종로구 귀금속 거리에서는 콩알금, 쌀알금 등이 나오고 있습니다.한 돈(3.75g). 조폐공사에서 골드바 수급 문제로 은행에 골드바 공급을 중단되면서 무겁지 않고 보관하기 쉬운 콩알금등이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도 몇개 샀어요 ㅎㅎ

맨 앞줄 쌀알과 가운데 줄의 1g짜리 콩알금, 마지막 줄 한 돈(3.75g)짜리 금의 크기를 비교해서 보시면 1g짜리 콩알금이나 한돈짜리 콩알금이나 정말 작죠. 저게 이제는 70만원에 육박하네요.

그래서 더 작은 금도 나오고 있어요. 24k 순금 황금 거위알, 금콩, 콩알금, 똥금, 땅콩금, 쌀알금, 골드에그, 미니 mini 골드바, 시세 코인, 주물금, 종로금, 뒷금 덩어리금등 한돈 반돈외에도 1g, 0.5g짜리 금도 나오고 있어요.

종로 금방에서 팔고 있는 작은 금들의 종류입니다. 선물로도 많이 팔린다고 하네요. ㅎㅎ

0.5g이여도 10만원이 넘어요. 아래 링크에서 가격확인가능하니 한번 확인해보세요.

아래는 1g짜리 펜던트 입니다. 여친에게 선물하면 좋은데 1g짜리가 20만원이 넘으니 참 무섭네요.

이젠 돌반지 선물은 옛말이 되어가네요. 거기다 금값은 지금보다 더 오르면 오르지 옛날 가격으로 가지는 않을 것 같네요.

저도 살다 무슨일 있을 때 금이 최고라는 부모님 말씀듣고 사놓은게 있는데 결혼할테 1돈에 4만원 정도에 샀으니 지금은 15배가 넘게 올랐네요. 여튼 금값을 보고 있으면 골드바 몇개씩 가지고 계신 분들은 정말 대단하다 생각이 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