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패스 교통카드 추천해주세요. 전국 어디서나 교통비 절감방법

대한민국에서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분들이라면, 교통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K패스 교통카드가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K패스는 대중교통 이용 시 일정 비율을 환급해주는 제도로, 특히 지하철버스를 자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최적화된 혜택을 제공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K패스의 주요 혜택과 함께, 전국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추천 카드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K패스란 무엇인가요?

K패스는 국토교통부에서 시행하는 교통비 절감 제도로, 매달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최대 60회까지 교통비의 20~53%를 환급받을 수 있는 카드입니다. 일반 이용자는 20%, 청년(만 19~34세)은 30%, 저소득층은 53%까지 환급받을 수 있어 교통비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특히 광역버스GTX 같은 고속철도까지 포함되어, 서울뿐만 아니라 경기인천 등 전국 어디서나 활용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다만, 시외버스KTX 등의 별도 티켓을 구매하는 교통수단은 환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K패스 교통카드, 어떤 카드가 좋을까?

K패스는 다양한 카드사에서 발급 가능하며, 각 카드사마다 추가 혜택이 다르기 때문에 본인의 생활 패턴에 맞는 카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에서 전국적으로 사용 가능한 추천 카드들을 소개합니다.

K패스 교통카드 추천

1. 신한 K패스카드

  • 환급 혜택: 대중교통 이용 시 10% 할인 제공합니다.
  • 추가 혜택: 간편결제(신한쏠, 카카오페이 등)와 생활 서비스(배달앱, 편의점 등)에서 2~5% 추가 할인 가능합니다.
  • 추천 이유: 간편결제를 자주 사용하거나 다양한 생활 서비스를 이용하는 분들에게 적합합니다.

2. KB국민 K패스카드

  • 환급 혜택: 대중교통 이용 시 10% 적립 제공합니다.
  • 추가 혜택: 생활 서비스(통신요금, 커피, 편의점 등)에서 1~5% 적립 가능합니다.
  • 추천 이유: 통신요금이나 커피 등 일상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지출에 추가 혜택을 받고 싶다면 좋은 선택입니다.

3. 카카오뱅크 K패스 체크카드

  • 환급 혜택: 기본 K패스 환급 혜택 적용됩니다
  • 추가 혜택: 전월 실적 30만 원 이상 시 대중교통 월 5만 원 이상 결제 시 4,000원 캐시백을 제공합니다.
  • 추천 이유: 카카오뱅크를 주로 사용하는 분들에게 간편한 카드 발급과 추가 캐시백 혜택을 제공합니다.

4. 농협 K패스카드

  • 환급 혜택: 대중교통 10% 할인 제공해요.
  • 추가 혜택: 렌터카/카쉐어링, 전기차 충전 시 5% 할인 및 이동통신 요금에서 5% 적립 가능합니다.
  • 추천 이유: 렌터카나 전기차 충전을 자주 이용하는 분들에게 강력 추천합니다.

아래 표는 현재 시중에 나와있는 카드들의 대부분을 표르 만들었어요. 대부분 비슷하기는 한데 할인율이 조금 다르거나 추가 기능이 있는 카드들도 있어요.

K패스교통카드 추천

제가 아직 제대로 확인하지 못하카드가 네이버페이 K패스카드도 있다고 합니다. 요즘 인기가 좋다고 하는데 요건 다음번에 정리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K패스 신청 방법 및 절차는?

K패스는 5월 1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며, 각 카드사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은 다음과 카드사 선택하시고 카드 발급 받으시면 됩니다.

카드사 선택: K-패스 전용 카드를 발급받으려면 신한, 하나, 우리, 현대, 삼성, BC, KB국민, NH농협, 이동의 즐거움(이즐카드), DGB유페이 등의 카드사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뱅크에서도 K-패스 카드를 발급할 수 있습니다.

회원 가입 및 카드 등록: K-패스 공식 앱 또는 웹사이트(korea-pass.kr)에서 회원가입을 진행합니다. 회원가입 시 카드번호를 등록하여 대중교통 이용 실적에 따라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알뜰교통카드 앱 또는 K-패스 앱/웹사이트에서 회원 전환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전환절차를 거쳐도 혜택도 K패스와 동일하니까 그냥 신규로 받으시는게 편할겁니다. 전환절차가 좀 귀찮다고 하네요.

K패스 vs 기후동행카드: 어떤 게 더 나을까?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는 것중 하나가 K패스와 함께 주목받고 있는 기후동행카드중 어느것이 더 좋냐는 겁니다. 기후동행카드는 주로 서울 거주자를 위한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 카드로, 월 6만 5천 원에 서울 지하철과 버스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어서 만약 서울 내에서만 대중교통을 주로 이용한다면 기후동행카드가 더 유리할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경기나 인천서울 외 지역으로 자주 이동한다면 K패스가 더 유리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K패스와 기후동행카드는 각각 장단점을 알아보고 자신에게 맞는 카드를 이용하시는게 좋아요.

K패스의 장단점

K 패스의 장점 : 전국구 카드죠. 전국어디에서든지 사용이 가능합니다.

  • 전국 17개 시도 189개 시군구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 광역버스와 GTX 이용도 가능합니다.
  • 교통비의 일정 비율을 마일리지나 현금으로 환급됩니다. 지출 금액의 일정 비율을 다음 달에 환급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 환급 비율은 일반인 20%, 청년 30%, 저소득층 53.3%입니다.

K 패스의 단점 : 이용회수에 대한 제한이 있어요.

  •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합니다 .그래서 대중교통 이용량이 많지 않으면 무용지물입니다.
  • 15회를 넘거야 하지만, 최대 60회까지만 혜택 제공합니다.

기후동행카드 장단점

기후동행카드 장점: 횟수에 대한 제한이 없이 교통카드외에 다양한 혜택이 있어요

  • 서울 시내 대중교통은 무제한 이용할 수 있어요
  • 따릉이도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릉이 서울에만 있는거 아시죠.
  • 문화·공연 시설 할인 혜택도 있어서 교통카드 기능외에도 여러가지에 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 교통비 절감 효과 (월 3만원 이상)가 높습니다.

기후동행카드 단점: 서울에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지역구 카드죠

  • 서울 시내로 사용 제한되어 있어서 주로 서울 시내에서 대중교통 사용량이 많은 분들에게 적합합니다.
  • 현금 충전이 필요합니다. 사실 이제는 단점은 아닌것 같아요.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도입으로 후불 기후동행카드도 나왔어요. 아래 카드 리스트들입니다.
후불 기후동행카드

제가 판단하는 선택 기준

  1. 이용 지역 구분을 하세요. 만약 주로 서울 내에서만 이동한다면 기후동행카드가 좀더 유리하고, 전국을 누비면서(주로 경기도겠죠. 위성도시에서 서울로 출퇴근 하시는 분들이요) 이동한다면 K패스가 유리합니다. 사실 경기도 서울 통합해도 될 것 같은데 따로 하면서 시민들만 불편해요.
  2. 이용 빈도에 따라 선택기준이 바뀝니다. 대중교통 이용량이 많은 신 분들은 기후동행카드의 무제한 혜택이 유리할 수 있어요. k패스 이용한도는 좀 쉿이예요.
  3. 연령에 따라 조건이 달라요. 만 19~39세 청년은 기후동행카드 청년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어서 서울시내에서 사용하기에는 최적입니다.
  4. 부가 혜택을 고려해보세요. 문화·공연 할인이 필요하다면 기후동행카드가 좀더 유리하고 현금 환급을 선호한다면 K패스가 확실히 좋습니다.

결론적으로, 사용하시는 분들의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적인 선택기준은 서울 내에서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에게는 기후동행카드가 유리하고 전국을 이동하거나 GTX를 자주 이용하는 사람에게는 K패스가 더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