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OLED TV패널 차이(OLED vs OLED evo) 비교 분석

LG전자의 OLED TV 라인업 중에서 OLEDOLED evo는 최근 소비자들 사이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두 제품 모두 뛰어난 화질과 성능을 자랑하지만, 그 안에는 미세한 차이가 존재합니다. OELD EVO를 적용한 모델은 Z, G, C 시리즈이고 A, B시리즈에는 OLED가 적용된다고 합니다.

그냥 OLED EVO가 OLED보다는 저렴한걸로 확인됩니다. 그런데 무슨 차이가 이런 가격의 차이를 만드는지 궁금하더라구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LG OLED TV에 사용된 OLED Evo와 일반 OLED 패널의 차이를 살펴보고, 어떤 제품이 사용자의 필요에 더 적합한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OLED vs OLED evo 기본 개념 이해하기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은 자체 발광 기술을 사용하여 화소 하나하나가 빛을 내는 방식입니다.
이로 인해 완벽한 블랙 표현과 넓은 시야각을 제공하며, 색상 표현력이 뛰어납니다. 반면 OLED evo는 이 기본 기술에 한 단계 더 진화한 모델로, 밝기와 HDR 성능을 개선한 것이 특징입니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즉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전류가 흐를 때 유기 물질에서 빛을 방출하는 원리로 작동하는 디스플레이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기존의 LCD와 달리 백라이트 없이 스스로 빛을 내며, 얇고 유연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해 다양한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OLED의 작동 원리와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OLED의 작동 원리

우선 OLED의 작동원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전문적인 공학관련 내용이라 설명이 어렵네요. ㅎㅎ OLED는 전류가 유기 물질에 닿으면 전자와 정공(정공은 양전하를 띤 입자로, 전자에 의해 생성됨)이 만나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빛을 내는 전계발광(Electroluminescence) 현상을 이용합니다. 이 과정은 아래와 같이 진행되면 그림과 함께 설명드릴께요.

  1. 전류 공급: OLED 패널에 전류가 공급되면 음극(Cathode)에서 전자가 방출되고 양극(Anode)에서 정공이 방출됩니다. 위쪽 그림에 음극과 양극을 보시면 +와 -가 이동하는 그림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2. 전자와 정공의 이동: 전자와 정공은 각기 다른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정공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을 통해 발광층(Emissive Layer)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가 모듀 EML(발광층)로 이동을 하게 됩니다.
  3. 재결합과 빛 방출: 발광층에서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하면서 에너지를 방출하고, 이때 발생한 에너지가 빛으로 전환됩니다. 이 빛의 색상은 발광층에 사용된 유기 물질의 특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4. 빛 방출 방향: OLED에서 방출된 빛은 편광판과 반사층 등을 통해 외부로 전달됩니다. 이 과정에서 원편광판(Circular Polarizer)을 사용해 반사광을 차단하고 시야각과 색감을 향상시키게 됩니다.

OLED의 구조와 주요 층

위의 OLED원리의 그림을 좀더 자세히 설명해보겠습니다. 사실 OLED 패널은 여러 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층은 모두 역할이 있습니다.

  1. 양극(Anode): 전자를 주입하는 역할을 하며, 투명 전도성 물질(주로 ITO)로 만들어져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합니다.
  2. 정공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정공이 쉽게 주입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층입니다.
  3. 정공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정공을 발광층으로 효율적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4. 발광층(Emissive Layer):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하여 빛을 방출하는 핵심 층입니다. 발광층의 유기 물질 종류에 따라 색상과 효율이 결정됩니다.
  5. 전자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를 발광층으로 이동시키며, 전자와 정공이 섞이지 않도록 합니다.
  6. 전자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전자가 쉽게 음극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 층입니다.
  7. 음극(Cathode): 전자를 공급하며, 일함수가 낮은 금속으로 만들어져 전자 주입이 용이합니다.

이런 기술적인 내용을 좀더 단순히 설명드리면,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전류가 흐르면 유기 물질에서 전자와 정공이 만나 빛을 방출합니다. 전류가 양극에서 주입된 전자와 음극에서 주입된 정공을 통해 발광층에 도달하면, 이들이 재결합하여 엑시톤이 형성되고 에너지를 방출해 빛으로 변환되지요. 그리고 이때 발광층에 사용된 유기 물질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빛을 낼 수 있는 원리입니다.

OLED와 LCD의 차이점

OLED를 이해하는데 가장 쉬운 방법이 LCD와의 차이를 보면 OLED구조와 원리를 조금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LCD는 백라이트라는 전구를 켜서 TFT를 발광시켜서 색상을 만듭니다. 하지만, OLED는 저 스스로 TFT를 발광합니다. 별도우ㅢ 전구 역할을 하는 백라이트가 필요없죠.,

이 백라이트가 없는 이유로 OLED는 정말 얇게 그리고 휘게도 만들 수 있는 겁니다.

  • 자체 발광 vs 백라이트 의존: OLED는 자체 발광하므로 백라이트가 필요 없지만, LCD는 백라이트를 통해 빛을 제어합니다.
  • 얇고 유연한 디자인: OLED는 백라이트가 없고 구조가 단순하여 더 얇고 유연한 디자인이 가능합니다.
  • 시야각과 색감: OLED는 시야각이 넓고 색감이 풍부하지만, LCD는 색 번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OLED의 장점과 단점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는 여러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장점으로는 자체 발광으로 인해 백라이트가 필요 없어 얇고 유연한 디자인이 가능하며, 전력 소비가 작아요. 완벽한 블랙 표현과 높은 명암비로 인해 뛰어난 화질을 제공하며, 넓은 시야각에서도 왜곡 없는 색감을 유지합니다. 그래서 LCD TV를 보다가 OLED를 보면 쨍한 느낌이 듭니다. 그리고 응답 속도가 빨라 모션 블러 없이 빠르게 움직이는 콘텐츠를 잘 표현합니다.

LCD는 반사체형태로 누군가가 빛을 쏘여주어야 하기에 반응속도가 바로 반응하는 OLED보다 느린겁니다.

OLED 단점으로는 번인 현상이 대표적입니다. 장시간 같은 이미지를 표시할 경우 픽셀 손상으로 인해 잔상이 남을 수 있으며, 특히 청색 소자의 수명이 짧아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사실 OLED번인 문제는 소자자체로는 아직 해결이 안되고 있어요. 그래서 우리도 모르게 화면의 위치를 바꿔가면서 뭔가를 쓰기도 하고 밝기를 조금씩 바꾸기도 해서 그 현상이 최대한 안나오도록 하고 있죠.

그리고 수명 문제와 제조 비용 증가로 인해 가격이 비싼 편이죠. 아래에 간단하게 리스트로 정리했습니다.

장점

  • 완벽한 블랙 구현: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픽셀이 완전히 꺼져 진정한 블랙을 구현합니다.
  • 빠른 응답 속도: 픽셀 단위로 제어되어 잔상 없이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합니다.
  • 넓은 시야각: 어느 각도에서나 왜곡 없는 화질을 제공합니다.

단점

  • 번인 현상: 장시간 동일한 화면을 켜두면 특정 픽셀이 손상되어 잔상이 남을 수 있습니다.
  • 수명 문제: 유기 물질의 특성상 시간이 지나면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OLED evo의 주요 개선점(밝기와 HDR 성능)

 OLED evo는 기존 OLED기본 기술에 한 단계 더 진화한 모델로, 밝기와 HDR 성능을 개선한 것이 특징입니다. 패널의 성능이 알파시리즈의 프로세서와 결합하여 성능 개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1. 밝기 향상

  • OLED 패널은 일반적으로 밝기 면에서 약간의 한계가 있었습니다. 어두운 환경에서는 뛰어나지만, 밝은 환경에서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밝기로 인해 디테일이 묻힐 수 있었죠.
  • OLED evo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LA) 기술을 도입했습니다. 이 기술은 패널 내부의 빛을 보다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하여 밝기를 최대 70%까지 향상시켰습니다.

2. HDR 성능 강화

  • OLED는 HDR 콘텐츠를 지원하지만, 밝기의 한계로 인해 HDR 효과가 완벽하게 구현되지 않을 때도 있었습니다.
  • OLED evo는 밝기 향상과 함께 HDR 콘텐츠에서 더욱 깊은 명암비와 생생한 색감을 제공합니다. 특히 밝은 장면에서도 디테일이 살아나며, HDR 콘텐츠를 즐기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3. 업스케일링(Upscaling)

해상도가 낮은 영상을 재생하면 픽셀이 꺠지기도 하고 노이즈 현상이 발생해 화면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 문제가 생긴다. 이때 영상 속 얼굴, 사물, 글씨 등을 인식해 노이즈를 줄이고 해상도를 높여 또렷하게 보이도록 만드는 기술을 ‘업스케일링(upscaling)’이라고 한다.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으로 화면의 배경까지 구분해 더 선명하고 생생한 화면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4. 다이나믹 톤 매핑 프로(Dynamic Tone mapping Pro)

생생한 장면을 위해 화면 영역을 5천 개 이상의 작은 블록으로 나눈 다음, 가각의 블록마다 HDR 효과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선명도와 명암비를 보다 세심하게 구현한다. 이를 통해 현실에 가까운 화면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디자인과 내구성: OLED vs OLED evo

1. 디자인 변화

  • OLED 패널은 기존에도 슬림한 디자인으로 인기를 끌었지만, OLED evo는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갔습니다. MLA 기술 덕분에 화면의 두께가 더욱 얇아져 세련된 외관을 자랑합니다.

2. 내구성 강화

  • OLED evo는 밝기와 HDR 성능뿐만 아니라 내구성 면에서도 개선되었습니다. 특히 밝은 환경에서도 번인 현상을 줄이기 위한 기술이 적용되어, 장시간 사용 시에도 화면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화면에 안보이게 뭔가를 계속 쓰거나 동작을 시키던 기술을 좀더 개선한게 아닐까 합니다.

가격대와 선택 기준

1. 가격 차이

  • OLED 패널은 기존에도 프리미엄 제품군으로 분류되었지만, OLED evo는 기술적 개선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형 사이즈의 경우 가격 차이가 더 클 수 있습니다. 8K등 고사양제품외에도 다양한 모델군에 적용하고 있어요. 아래 보시면 쉽게 이해하실겁니댜.
  • 증저가 모델인 A시리즈와 B시리즈 외에는 모두 EVO로 바뀐 상태입니다.

2. 어떤 제품이 적합할까?

  • OLED는 기존에도 뛰어난 화질을 제공하며, 주로 어두운 환경에서 콘텐츠를 즐기거나 예산이 한정된 소비자에게 적합합니다.
  • 반면 OLED evo는 밝은 환경에서도 최고의 화질을 경험하고 싶거나, HDR 콘텐츠에 집중하는 사용자에게 추천할 만합니다.

나에게 맞는 OLED TV 선택하기

LG의 OLEDOLED evo는 모두 뛰어난 화질과 성능을 갖춘 제품이지만, 소비자의 사용 환경과 예산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어두운 환경에서 주로 사용하거나 예산을 고려한다면 OLED가 적합할 수 있으며, 밝은 환경에서 HDR 콘텐츠를 즐기고자 한다면 OLED evo가 더 나은 선택이 될 것입니다.

성능적으로는 evo가 좋은데 가격도 무시할 수 없어요. 하지만 향후 모든 모델이 OLED evo로 가지 않을까 합니다. 그래서 가성비 있는 evo모델이 나오면 사는것도 좋은 방법일 것 같아요ㅗㅎㅎ

OLED evo를 적용한 제품은 아래 링크된 글에서 추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LG OLED G4 시리즈 특징 및 모델 정보